|
[절기를 말하다](11) 오늘 립추(立秋), 가을 문턱을 넘어선다
◆신기덕 립추는 양력으로 8월 7일 경에 든다. 가을 ‘추(秋)’자는 ‘화(禾)’자와 ‘화(火)’자로 이루어졌는데 곡식이 여물었다는 뜻이다. 세월은 빨리도 흘러 이미 올해의 세번째 계절인 가을의 문턱을 넘어서게 되였다.‘가을’이라는 말은 처음에는 ‘벼가을’, ‘보리가을’, ‘밀가을’과 같이 ‘농작물을 거두어들이는 일’을 …(2022-08-08 22:38:38)
|
|
[절기를 말하다](10) 오늘 대서(大暑), 랭면 먹으러 가자!
◇신기덕대서는 24절기 중 열두번째 절기이며 7월 23일 경에 든다. 클 ‘대(大)’자와 더울 ‘서(暑)’자로 이루어졌으니 ‘큰 더위’를 나타내는 말이다. 대서는 ‘삼복(三伏)’에서 ‘중복(中伏)’ 전후에 드는데 일년 중 제일 무더운 시기로서 기온이 제일 높다. 이때에는 농작물이 빨리 자라는 반면 적지 않은 지방에는 또 가뭄, 수재, 풍재 등 자연재해가 잇따르기도 한다. 대서에는 더위 때문에 “염소뿔도 녹는다”는 속담이 나타났다. 창밖 아름드리나무에서 매미들이 목청을 다해 마지막 ‘합창’을 부르…(2022-07-23 22:36:29)
|
|
[절기를 말하다](9) 오늘 소서(小暑), 열풍에 열랑이 일렁인다
◇신기덕소서는 24절기중 열한번째에 오는 절기이며 7월 7일 경에 든다. 작을 ‘소(小)’자에 더울 ‘서(暑)’자가 어울렸으니 ‘작은 더위’를 나타내는 말이다. 이때부터 본격적인 여름더위가 시작된다. 가장 무더운 절기인 대서와 쌍을 이루는 절기라 하여 소서라고 일러오게 되였다. 이 시기는 여름 장마철로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내린다. 소서는 온도 변화를 반영하는 절기이다. 24절기중 온도 변화를 반영하는 절기로는 소서, 대서, 처서, 소한, 대한 등 다섯개 절기가 있다. 모든 절기 가운데서 소…(2022-07-07 22:33:26)
|
|
[절기를 말하다](8)오늘 하지(夏至), 매미들의 합창 시작된다
◇신기덕하지는 열번째 절기로서 6월 21일 경에 오며 “한여름에 이르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날은 태양이 북회귀선을 직사하는데 이때 지구의 북반구는 일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길며 이튿날부터 북반구의 낮의 길이는 점점 짧아진다. 하지는 계절의 변화를 반영한 절기다. 24개의 절기 가운데서 4계절의 변화를 반영하는 절기는 립춘, 춘분, 립하, 하지, 립추, 추분, 립동, 동지 등 8개 절기다. 매개 절기의 시작을 알리는 립춘, 립하, 립추, 립동을 우리는 ‘4립 절기’라고 하며 매개 계절의 특…(2022-06-21 22:32:43)
|
|
[절기를 말하다](7)오늘 망종(芒种), 와~ 대학입학시험이다!
◇신기덕망종은 24절기 중 아홉번째 절기로서 보통 6월 6일 경에 든다. 망종의 ‘망(芒)’자는 원래 ‘까끄러기’를 지칭하는 글자인데 여기서는 그 뜻이 부연되여 “밀, 보리 등 까끄러기가 있는 농작물의 수확”을 가리키며 망종의 ‘종(种)’자는 늦벼와 기장과 같은 농작물의 파종 절기를 의미한다.‘망종’은 “전날에 보리를 베고 이튿날 벼모를 내야 하는 절기”로 소문이 높은바 수확도 하고 파종도 해야 하니 말 그대로 농망기에 들어선 것이다.망종에는 해충 잡이 능수 버마재비가 작년 늦가을에 남겨진 알에서…(2022-06-06 22:31:47)
|
|
[절기를 말하다](6) 오늘 소만(小满), 아! ‘보리고개’여…
◇신기덕소만이란 립하와 망종 사이에 드는 절기인데 자연의 식물이 비교적 무성해지고 풍만해진다는 뜻이다. 해마다 5월 21일 경에 든다. 이 절기에는 여름에 수확하는 맥류(麦类) 농작물들의 낟알이 점점 통통해지지만 아직 탱탱하지는 못하다. 이런 뜻에서 대만(大满)이 아닌 소만으로 불리우게 된 것이다. 소만은 물후(物候) 현상을 반영한 절기이다.기후란 지표면의 특정 장소에서 매년 비슷한 시기에 출현하는 평균적이며 종합적인 대기 상태를 가리킨다. 기후는 계절을 구분하는 24절기와 72후(候)에서 유래되…(2022-05-21 22:31:00)
|
|
[절기를 말하다](5) 오늘 립하(立夏), “야호! 여름이다∼”
◇신기덕 립하는 보통 5월 5일 경에 오며 24절기 중 일곱번째 절기이자 여름의 첫 절기이다. 립하는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라는 데서 그 의의가 크다. 여름은 한해의 네개 계절 가운데서 두번째 계절인데 봄과 가을 사이이며 낮시간이 길고 날씨가 무더운 계절이다. 절기로는 립하부터 립추(立秋) 전날까지를 이른다. 우리…(2022-05-04 22:30:04)
|
|
[절기를 말하다](4) 오늘 곡우(谷雨), ‘곡우밥’ 해먹자!
◇신기덕 곡우는 24절기 중 여섯번째 절기에 속하며 봄철에 있는 마지막 절기이다. 해마다 4월 20일 경에 들면 봄비가 내려서 백곡(百谷)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을 가졌다.계절이란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자연현상에 따라서 일년을 구분한 것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온대지방은 기온의 차이를 기준으로 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의…(2022-04-20 22:27:58)
|
|
[절기를 말하다](3) 오늘은 청명, “새소리 듣자!”
◇신기덕 청명(清明)이란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이다. 청명은 다섯번째 절기에 속하며 해마다 4월 5일 경에 든다. 음력설, 보름, 청명, 단오, 추석 등 우리 나라 전통명절 가운데서 청명만이 절기로 된 명절이다. 원래 있던 명절 한식절(寒食节)이 청명과 같은 날이거나 하루를 사이두고 오기에 아예 청명날에 합쳐버린 것…(2022-04-05 22:24:56)
|
|
[절기를 말하다](2)“닭알 세워봐라∼” 춘분(春分)
[절기를 말하다](2)“닭알 세워봐라∼” 춘분(春分)◇신기덕24절기는 지구가 놓인 공전궤도상의 위치에 근거하여 정한 것이다. 지구가 태양을 한바퀴 도는 360°의 궤도에서 0°를 춘분일로 잡고 매 15°를 회전할 때마다 한절기를 두어 도합 24절기를 만들었다. 이날은 태양이 적도를 직사하기 때문에 지구는 낮과 밤의 길…(2022-04-03 11:56:49)
|
열 람 중 |
[절기를 말하다](1)“우르릉 꽝!”ㅡ경칩(惊蛰)
<절기를 말하다>를 내면서옛 선조들은 천문학 지식을 동원해 1년을 24개로 나누고 기후를 나타내는 용어를 하나씩 붙였는데, 이것이 절기(节气 )다. 중국에서 만들어진 24절기는 자연계의 계절의 변화 법칙을 준확하게 반영하면서 옛적부터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농경생산을 …(2022-04-03 11:52:56)
|
|
장춘영화제작소 지하박물관 착공
장춘영화제작소 지하박물관 및 부속시설 공사가 최근에 정식으로 가동되였다. 이 공사의 지상 총 부지면적은 2,900평방메터이고 지하 총 부지면적은 만 5,527평방메터이다. 그중 지상에는 계단, 엘리베이터, 통풍정, 자동차 출입구 등을 건설하고 지하 1, 2층에는 박물관과 공공 써비스 부대 공간을 건설하며 지하 3, 4층은…(2022-03-09 15:35:46)
|
|
장춘 홍기거리, 국제 조류 예술거리로 변신한다
근일, 장춘시 조양구에서는 중심 소비지역에 대한 특색 향상 공정을 시작해 층차 별로 랜드마크(地标性) 상권 상가를 건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춘 홍기거리료해에 의하면 이 공정은 춘성극장 등 ‘3점’, 문화거리 등 ‘7로’및 국제무역쎈터 문전광장 등 ‘4광장’을 중점으로 중경로 상권 개조를 가속 추진해 환경을 개선하고 사람…(2022-03-09 15:32:20)
|
|
한복(汉服)앞에서 외국인 친구들은 흥분한다
-‘길림에서 동계올림픽을 보고 미래로 향하자!’계렬활동한복(汉服)은 중화 전통 복식의 주요한 축으로 청나라 이전의 중화민족의 국가 형상을 대표하였으며 이로하여 고대 중국이 ‘의관상국’, ‘의례지국’, ‘금수중화’ 등 많은 미명을 얻게 하였다. 한복의 아름다운 풍채를 직접 보기 위하여 2월 11일, ‘길림에서 동계올림픽을 …(2022-02-14 14:47:09)
|
|
길림의 빙설요소, '다채로운 신주'를 밝혀
동계올림픽은 북경에서, 체험은 길림에서, 발전은 길림에서. 2022 북경뉴스쎈터 ‘다채로운 신주’ 주제 전시구에서 길림 사람들은 빙설 요소를 선전하고 길림의 기상을 그려 사람들의 많은 인기를 얻었다.문화의 함축: 장백산과 송화강의 겨울왕국저녁 7시, 2022북경뉴스센터 ‘다채로운 신주’ 주제 전시구의 제1자동차 홍기 부…(2022-02-14 14:45:25)
|